본문 바로가기

도서관 소장 희귀자료 활용법

38. 독창적 소재 발굴: 도서관 희귀 자료를 활용한 전자책 콘텐츠 제작법

독창적 책 발간: 도서관 희귀자료를 활용한 전자책 콘텐츠 제작법

들어가며

“내 전자책이 다른 책과 확실히 차별화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콘텐츠가 넘쳐나는 시대, 전자책 시장에서 눈에 띄려면

단순한 정보 나열이 아니라 ‘어디서도 쉽게 볼 수 없는 자료’를 기반으로 해야 한다.

바로 도서관의 희귀자료가 그 해답이다.

 

 

 

 

 희귀자료란 절판된 책, 한정 발행 보고서, 지역 특화 자료, 고문헌 등 온라인에서 쉽게 구할 수 없는 자료를 말한다.

이를 잘 발굴하고 재가공하면 독창적이면서 신뢰도 높은 전자책을 만들 수 있다.
이번 글에서는

  1. 도서관 자료로 전자책 주제 구성하기
  2. 자료 재가공 후 글쓰기 기획법
  3. 전자책 플랫폼 등록 전 유의사항

등의 세 가지 단계로 구체적인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1. 도서관 자료로 전자책 주제 구성하기

“희귀자료로 어떤 전자책 주제를 만들 수 있을까요?”
전자책의 주제는 단순히 ‘흥미로운 주제’만으로는 부족하다.

자료의 희소성, 독자의 필요, 그리고 저작권 활용 가능성을 모두 고려해야 한다.

핵심 전략

  • 희소성: 온라인에서 쉽게 찾을 수 없는 정보 중심
  • 수요성: 독자가 실제로 필요로 하는 주제 선정
  • 확장성: 단권으로 끝나지 않고 시리즈화 가능한 주제

📌 일상 예시
지역문화 연구를 하는 민경씨는 ‘경상북도 전통 직물 무늬’에 대한 희귀자료를 도서관에서 찾았다.

시중에는 전혀 없는 내용이었고, 학술 보고서와 사진 아카이브가 함께 존재했다.

그는 이를 바탕으로 ‘전통 직물 패턴과 현대 패션 디자인’이라는 전자책을 기획해,

패션 전공 학생들과 디자이너들에게 인기를 끌었다.


2. 자료 재가공 후 글쓰기 기획법

“희귀자료를 그대로 옮기면 전자책이 될까요?”

 

 절대 그렇지 않다.

희귀자료는 원문 그대로 복제하면 저작권 침해 위험이 있으며,

독자 입장에서도 이해하기 어렵다. 따라서 자료를 재가공하고,

독자의 읽기 흐름에 맞춰 구성해야 한다.

 

 

 

 

재가공 방법

  • 원문 핵심 내용 요약 + 현대어 해설 추가
  • 자료에 나오는 통계·이미지·지도 등을 시각화
  • 본문 중간에 사례 연구, 인터뷰, 사진 등 보강 자료 삽입

📌 일상 예시
김지현 작가는 ‘1920년대 여성 노동운동 기록’을 국회도서관에서 찾았다.

당시 신문기사, 판결문, 인터뷰 자료가 포함된 원문은

글씨체와 표현이 낯설어 독자가 읽기 어려웠다.

김작가는 자료를 현대어로 풀고,

각 사건마다 지도와 당시 사진을 배치해 전자책을 제작했다.

결과적으로 학문적인 가치는 유지하면서도

일반 독자가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콘텐츠가 완성되었다.


3. 전자책 플랫폼 등록 전 유의사항

“전자책을 만들었는데, 바로 올리면 끝인가요?”
전자책 플랫폼(예: 교보문고 전자도서관, 리디북스, 아마존 킨들)에

등록하기 전 반드시 확인해야 할 조건들이 있다.

 

 

 

 

체크리스트

  • 저작권 확인: 원문 자료의 사용 허가 여부, 인용 범위 확인
  • 포맷 규격: EPUB, PDF 등 플랫폼별 업로드 규격 맞추기
  • 메타데이터: 제목, 저자명, 키워드, 카테고리 등 검색 최적화 설정
  • 썸네일 디자인: 시각적으로 주제를 명확히 보여주는 표지 제작

📌 일상 예시
이승훈씨는 ‘근대 건축 도면집’을 희귀자료로 전자책을 만들었지만,

처음 등록 시 저작권 증빙 서류가 없어 판매 승인이 지연됐다.

이후 그는 자료 발행기관의 사용 허락 메일을 첨부하고,

도면 이미지를 직접 재그린 후 등록해 문제를 해결했다.

이 경험 이후 모든 전자책 프로젝트에서 처음 단계부터 저작권과 플랫폼 요구사항을 체크하는 습관을 들였다.


🧾 실전 요약 Tip: 희귀자료 전자책 제작 3단계

       단계                               핵심 포인트                                                                         주의사항
주제 구성 희소성 + 수요성 + 확장성 저작권 범위 고려
자료 재가공 현대어 해설 + 시각 자료 + 사례 보강 원문 그대로 복제 금지
플랫폼 등록 규격, 메타데이터, 저작권 증빙 플랫폼별 가이드라인 숙지

 


결론

희귀자료를 활용한 전자책 제작은 ‘자료 발굴 → 재가공 → 플랫폼 최적화’의 3단계가 핵심이다.

자료의 가치와 독창성을 살리면서도, 독자가 읽고 싶게 만드는 구성과 시각적 완성도가 필요하다.

이러한 과정이 번거로울 수 있지만,

한 번 제대로 제작하면 장기간 꾸준한 판매와 전문성 확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다.